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수학적 기초


카이스트 문일철 교수님의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개론1 1주차 강의를 보고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압정을 던져서 앞면과 뒷면이 나오는 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압정을 5번 던져서 앞면(head)이 3번, 뒷면(tail)이 2번 나왔습니다. 이것을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Binomial Distribution(이항 분포)

  • discrete한(이산적인) 사건에 대한 확률 분포입니다. ex) (앞, 뒤)
  • 이것을 계속 실험해보는 것을 베르누이 실험이라고 합니다
  • iid(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 각 이벤트는 독립적이며 동일한 분포를 가진다는 뜻
  • \(P(H)=\theta\), \(P(T)=1-\theta\)
    • 가지는 성질 : 항상 양수, 합하면 1
\[P(HHTTT) = \theta\theta(1-\theta)\theta(1-\theta) = \theta^{3}(1-\theta)^{2}\]

\(n\)=5, \(k=a_{H}\)=3, \(p=\theta\)라고 할 경우, \(\theta\)가 주어졌을 때, 데이터 \(D\)가 관측될 확률
\(P(D|\theta) = \theta^{a_{H}}(1-\theta)^{a_{T}}\)

  • 가정 : 압정 게임의 결과는 \(\theta\)라는 확률 분포를 따른다
  • 가정을 강하게 하려면?
    • binomial 분포보다 맞는 분포를 제시 -> 추후 강의
    • \(\theta\)를 최적화(best candidate theta를 찾아 D를 설명) -> MLE

MLE

  • 관측된 데이터들이 등장할 확률을 최대화하는 \(\theta\)를 찾기!
  • 어떤 모수가 주어졌을 때, 원하는 값들이 나올 Likelihood를 최대로 만드는 모수를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점추정 방식에 속합니다
  • 수식
\[\hat\theta = argmax_{\theta}P(D|\theta) = argmax_{\theta}\theta^{a_{H}}(1-\theta)^{a_{T}}\] \[= argmax_{\theta}lnP(D|\theta) = argmax_{\theta}ln\{\theta^{a_{H}}(1-\theta)^{a_{T}}\}\] \[= argmax_{\theta}\{a_{H}ln\theta+a_{T}ln(1-\theta)\}\] \[\frac{d}{d\theta}(a_{H}ln\theta+a_{T}ln(1-\theta)) = 0\] \[\frac{a_{H}}{\theta} - \frac{a_{T}}{1-\theta} = 0\] \[\hat\theta = \frac{a_{H}}{a_{H}+a_{T}}\]

추가 질문

추가적으로 압정을 더 던져서 앞면이 30회 뒷면이 20번 나온 경우, 5번 던진 것과 확률상으론 같은데, 과연 5번 던진 것과 50번 던진 것과는 같을까요?

그에 대한 답은 “여러 번 시도하면서 파라미터 \(\hat\theta\)를 추론한 것이지, 확정된 값은 아닙니다. 계속 던져보며 error가 줄어든 것입니다!” \[P(|\hat\theta - \theta^*| \ge \epsilon) \le 2e^{-2N\epsilon^{2}}\]

좌측의 \(\epsilon\)(error bound)가 커질수록 우측의 확률은 작아집니다. 또한 우측의 \(N\)이 커질수록 우측 값이 작아집니다

이런 것들을 Probably Approximate Correct(PAC) Learning이라고 합니다.
ex) 0.01% case의 probably에 \(\epsilon\)=0.01의 Apporiximate?

MAP (Maximum a Posteriori Estimation)

MLE는 관측값에 따라 값이 너무 민감하게 변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자는 사람들이 점점 생겼습니다. 그 중 한명은 베이즈로, 사전 정보를 가미한 \(\theta\)를 찾아보자고 했습니다 \[P(\theta\mid D) = \dfrac{P(D\mid\theta)P(\theta)}{P(D)}\]

좌측은 Posterior, 우측은 Likelihood * Prior knowledge / Normalizing constant
Normalizing constant는 이미 주어진 사실이라 컨트롤을 할 수 없습니다.
\(\theta\)가 바뀌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수식에서 많이 생략하곤 합니다

따라서 우리도 이렇게 정리하겠습니다
\(P(\theta\mid D) \propto P(D\mid\theta)P(\theta)\)

\(P(D\mid\theta) = \theta^{a_{H}}(1-\theta)^{a_{T}}\)라는 것을 이미 MLE에서 알게 되었는데요, 그렇다면 \(P(\theta)\)는 무엇일까요? 이 값은 베타 분포를 따른다고 합니다! \[P(\theta) = \dfrac{\theta^{\alpha-1}(1-\theta)^{\beta-1}}{B(\alpha, \beta)}, {B(\alpha, \beta)}=\frac{\Gamma(a)\Gamma(b)}{\Gamma(a+b)}, \Gamma(\alpha)=(\alpha-1)!\]

다시 \(P(\theta\mid D) \propto P(D\mid\theta)P(\theta)\)를 정리하면, \[P(\theta\mid D) \propto \theta^{a_{H}}(1-\theta)^{a_{T}} \theta^{\alpha-1}(1-\theta)^{\beta-1}\] \[=\theta^{a_{H}+\alpha-1}(1-\theta)^{a_{T}+\beta-1}\]

MLE에서 나왔던 모양과 비슷한데, \(\alpha\), \(\beta\)가 존재할 뿐! \(\alpha\), \(\beta\)를 조절해(=사전 정보) \(\hat\theta\)를 추출합니다

베이즈는 이것을 보고 \(a_{H}\)와 \(a_{T}\)가 점점 커지면, \(\alpha\), \(\beta\)의 영향이 작아져서 결국 MLE와 MAP는 동일하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MLE와 MAP의 비교

MLE

\[\hat\theta = argmax_{\theta}P(D\mid\theta) \to \frac{a_{H}}{a_{H}+a_{T}}\]

MAP

\[\hat\theta = argmax_{\theta}P(\theta\mid D) \to \frac{a_{H}+\alpha-1}{a_{H}+\alpha+a_{T}+\beta-2}\]

Probability(확률)

\(P(E) \in R, P(E)\ge0, P(\Omega)=1\)
\(P(E_{1}\cup E_{2}..) = \Sigma_{i-1}^{\infty}P(E_{i})\)
\(if A \subseteq B, then P(A)\le P(B)\)
\(P(\phi)=0\)
\(0\le P(E) \le 1\)
\(P(A\cup B) = P(A) + P(B) - P(A\cap B)\)

조건부 확률

  • 조건이 붙는 확률
  • ~일 경우에 -일 확률은?
  • 베이즈 정리
    \(P(D|S) = \dfrac{P(S|D)P(D)}{P(S)}\)

Probability Distribution

  • assign, mapping이라고 합니다
  •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특정한 값으로 assign
  • 확률밀도 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PDF) = \(f(x)\)
  • 누적분포 함수,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CDF) = \(\int_{-\infty}^{\infty}f(x)dx\)

Normal Distribution

  • 파라미터나 식을 수정해 균일하게 만든 분포
  • Notation : \(\mathcal{N}(\mu, \sigma^2)\)
  • Mean : \(\mu\)
  • Variance : \(\sigma^2\)
\[\mathcal{N}(x; \mu, \sigma^2) = \dfrac{1}{\sqrt{2\pi\sigma^2}} \exp \left(-\dfrac{(x-\mu)^2}{2\sigma^2}\right)\]

Beta Distribution

  • 범위가 정해진 것을 표현할 경우 주로 사용
  • 확률을 모델링시 사용
  • Notation : \(\text{Beta}(\alpha, \beta)\)
  • Mean : \(\frac{\alpha}{\alpha+\beta}\)
  • Variance : \(\frac{\alpha\beta}{(\alpha+\beta)^{2}(\alpha+\beta+1)}\)
\[\text{Beta}(\theta; \alpha, \beta) = \dfrac{\theta^{\alpha-1}(1-\theta)^{\beta-1}}{B(\alpha, \beta)}, {B(\alpha, \beta)}=\frac{\Gamma(a)\Gamma(b)}{\Gamma(a+b)}, \Gamma(\alpha)=(\alpha-1)!\]

Binomial Distribution

  • Notation : \(\text{Bin}(N, \theta)\)
  • Mean : \(N \theta\)
  • Variance : \(N \theta(1-\theta)\)
\[\text{Bin}(x;N,\theta) = \binom N x \theta^x(1-\theta)^{N-x}\] \[\binom N x =\dfrac{N!}{x!(N-x)!}\]

Multinomial Distribution

  • binomial을 일반화
  • 군집화, 자연어 처리시 사용
  • Notation : \(\text{Mu}(N,\theta)\)
  • Mean : \(\text{E}[x_k] = N\theta_k\)
  • Variance : \(\text{Var}[x_k] = N\theta_k(1-\theta_k)\)
\[\text{Mu}(x;N,\theta) = \binom N x \prod_{k=1}^K \theta_k^{x_k} = \binom N {x_1, \cdots, x_K} \prod_{k=1}^K \theta_k^{x_k}\]

이 식에서 \(\binom N {x_1, \cdots, x_K} = \dfrac{N!}{x_1! \cdots x_K!}\)

Reference


카일스쿨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스, 성장, 리더십, BigQuery 등을 이야기할 예정이니, 관심 있으시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문제 정의, 지표, 실험 설계, 문화 만들기, 로그 설계, 회고 등을 담은 강의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다양한 의견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 2017. by Seongyun Byeon

Powered by zzs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