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성장시키기 : 발표 컨설팅


  • 팀원을 성장시키는 다양한 방법 중, 개발 발표 컨설팅한 내용에 대해 작성한 글입니다
    • 팀원들의 발표를 어떻게 동기부여하고 어떻게 발표 준비를 도왔는지에 대한 글입니다
    • 데이터야놀자 2019에서 다음 발표를 도왔습니다
      • 정민정님의 GAN을 활용한, 내 손글씨를 따라쓰는 인공지능
      • 이창현님의 타다(TADA) 서비스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 태초부터 현재까지
      • 권윤환님의 모빌리티 데이터팀 신입 분석가의 1년 회고

팀원 성장시키기

  • 회사에서 팀을 이끄는 역할을 하다보면, 팀원을 어떻게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됩니다
    • 우선 팀원이 성장할 의지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 팀장이 팀원의 욕구를(바라는 커리어 등) 수시로 잘 파악해야 하고
    • 욕구(바라는 커리어 등)와 회사에서 진행되는 일의 교집합을 잘 찾아 Task로 만들고, 적절하게 분배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이 부분은 [TF에서 팀 빌딩까지 9개월의 기록 : 성장하는 조직을 만드는 여정]에서 발표한 내용처럼, 팀원들과 계속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 요즘 또 든 생각은 팀원들의 욕구는 계속 듣고 발전하며, 평소에 접하지 못했던 것을 하면 또 새롭게 성장하지 않을까?란 생각을 했습니다
    • 단, 팀원들이 평소에 접하지 못했던 것 중 제가 경험했던 일이면 더 잘 도울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 고민한 결과, 저는 과거에 광고 동아리에서 발표를 많이 했고, 경영학과에서 한학기에 6 전공 6 팀플 6 발표라는 경험, 개발 컨퍼런스 등에서 다양한 발표를 했기 때문에 발표에 대해 자신이 있었습니다
    • 이번엔 팀원들을 발표하도록 권장하고, 발표의 모든 과정을 돕기로 결정했습니다
  • 발표 컨설팅을 위해 제가 진행한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표가 좋은 이유 설명
    • 발표할 의지가 있는 팀원 파악
    • 발표할 컨퍼런스 찾기
    • 발표 신청하기
      • 발표 스토리 초안 작성 돕기
    • 발표 자료 만드는 가이드라인 제시
    • 발표 자료 초안 피드백
    • 발표 자료 최종 피드백
    • 발표 전 리허설
    • 발표 후 자료 공유





발표가 좋은 이유

  • 개발자에게 (개발자가 아니여도 모두에게 좋지만) 발표가 좋은 이유를 설명하면 좋습니다
    • 단순히 “우리 회사 홍보할 겸 회사에서 일한거 발표 좀 해봐” 라는 수직적인 말과 함께 발표하라는 분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방식은 노노.. 자발적인 의지가 중요합니다
  • (제가 생각하는) 발표가 좋은 이유 다음과 같습니다
    • 1) 진행한 업무를 정리하는 시간
      • 보통 회사에서 진행한 업무를 어딘가에 잘 메모해두지만, 발표용으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는 분들은 적은 것 같습니다(저도 그래요..!)
      • 프로젝트가 끝난 후, 혹은 진행 과정에 한번 업무를 정리하면 자신이 했던 일을 정리하며 좋고, 추후에 다른 분들이 입사하셔도 발표 자료를 전달하며 이런 흐름으로 진행했다고 알릴 수 있습니다
    • 2) 공식적으로 자신이 진행한 일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수단
      • 보통 회사에서 진행한 일은 대부분 “대외비” 취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자신이 진행한 일에 대해 공식적으로 말하기 꺼려집니다
      • 단, 발표를 하면 (필요할 경우 내부 피드백을 거치며) 공식적으로 자신이 진행한 일을 어느정도 가이드라인 하에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커리어에 도움이 된다 생각합니다
    • 3) 지식 나눔
      • 자신이 가진 지식을 누군가에게 나누는 동시에 다른 분들도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유하는 문화가 더 아름다운 개발 생태계를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 4) 본인 커리어에 도움
      • 2)의 맥락과 유사한데, 외부 발표를 통해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학생이라면 추후 첫 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미 회사를 다니시는 분도 추후 먼 훗날의 커리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5) 회사 PR
      • 회사 업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엔 회사의 기술력을 마음껏 뽐낼 수 있습니다! 회사에 더 좋은 분이 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발표할 의지가 있는 팀원 파악하기

  • 발표가 좋은 이유를 팀원 개인에게도 말하고, 팀 전체에 말하고,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도 말하고, 제가 운영하는 커뮤니티에도 말하며 발표할 의사가 있는 분들을 찾았습니다
    • 꼭 팀원이 아니어도, 같이 일하는 동료와 커뮤니티에서 만난 인연, 대학생 분들 등 다양한 분을 돕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 총 3분의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3번 정도 말한 것 같습니다..!
  • 회사에서 저희 팀 소속이신 팀원
  • 회사에서 같이 일하는 동료
  • 개발자 글쓰기 모임 글또에서 활동하시는 분
  • 모두 “데이터” 관련 일을 하거나 데이터 업을 희망하기 때문에 포괄적인 “데이터야놀자 2019”에 발표하면 좋을 것 같다 말씀드렸습니다





발표 신청하기

  • 개발 컨퍼런스에 발표하고 싶은 의지만 있다고 모두 발표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컨퍼런스의 퀄리티 혹은 목적에 맞도록 사전에 발표 내용을 제출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최종 발표자가 선정됩니다
  • 이 발표자 신청 과정부터 잘 통과하지 못하면 결국 발표를 못하기 때문에, 이 부분부터 같이 진행했습니다
  • 신청하기 위해 파악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개발 컨퍼런스의 슬로건과 유사한 발표 고민하기
      • 개발 컨퍼런스에서 슬로건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작은 가이드라인이라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면 파이콘 한국 2019의 슬로건은 “Connect the Pythonistas” 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파이써니스타를 연결한다는 의도입니다
      • 데이터야놀자 2019는 “현업에서 얻은 데이터 경험”, “현장 또는 나와 함께하는 데이터” 를 큰 테마로 가졌습니다
    • 2) 발표의 스토리라인 잡기
      • 각자 발표할 내용과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지 잘 고민해야 합니다
      • ㄱ) 발표를 통해 어떤 내용을 전달할 것인가?
      • ㄴ) 발표의 예상 청중은?
      • ㄷ) 발표의 예상 난이도는? 난이도가 있다면 어느 정도 알아야 수월하게 들을 수 있는가?
      • ㄹ) 희망하는 예상 시간대는?
  • 3분과 대화를 한 결과, 모두 각자가 진행한 업무 또는 프로젝트가 있었습니다. 그 내용을 최대한 잘 반영해 발표 신청서에 담았습니다
    • 발표 신청서를 정성스럽게 작성하고, 의도에 맞는다면 잘 될거라 믿었습니다
    • 발표 신청서에 위에 말한 ㄱ ~ ㄹ + 발표의 서론/본론/결론을 작성하도록 했습니다(이 때 작성한 내용과 실제 발표의 흐름이 달라도 괜찮습니다)
  • 서론/본론/결론의 스토리라인 초안 작성을 도울 때 아래와 같이 가이드 드렸습니다
    • 발표를 위한 말랑말랑한 Intro(서론)이 있는가? 흥미 유발할 수 있는가?
    • 본론 : 진행한 업무 / 프로젝트 흐름대로 일단 작성
    • 결론 : 그래서 어떤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지 다시 정리





발표 자료 초안 피드백

  • 발표 자료 초안 피드백은 발표일 -7일 쯤에 했습니다
    • 보통 마감일에 자료를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발표를 많이 해보지 못한 분들은 발표 연습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따라서 초안 피드백을 발표일 1주 전에 하고, 그 사이에 최종 자료를 만드는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 초안 피드백에 보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한줄로 설명하면 무엇인가요?
      • 이 부분은 발표 전체를 관통할 수 있는 내용이 있는지, 발표의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용도로 여쭤봤습니다
      • 이 부분을 통해 자신이 어느정도 이야기할지(가끔 이야기가 산으로 가거나 끝없이 아무말 대잔치하는 분들이 있어서..) 고민하셨습니다
    • 2) 내용을 단순 “나열”한 것이 아닌 적절한 “스토리”가 같이 있는지?
      • 발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25분 혹은 40분 발표는 구성에 따라 짧게 느껴질 수도, 길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 짧게 느껴지는 경우엔 발표자분의 발표력이 좋거나, 흥미로운 내용을 전달했거나, 스토리가 적절하게 있는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 발표 경험이 적으면 발표력이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흥미로운 내용 + 스토리를 적절히 조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 스토리라고 하면 “왜 이 일을 하게 되었는가? 어떤 생각을 하다 이렇게 했는가?”로 시작해 의식의 흐름을 나열하곤 합니다
      • “이 일을 하며 힘들었던 상황은? 그걸 어떻게 극복했는가?”
      •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식화를 할 수 있지만 일단 초안 피드백에선 스킵합니다. 일단 전체적인 틀을 채우고 시각화나 도식화는 발표 전 최종 피드백에서 진행합니다
    • 3) 발표를 보는 분들이 유용하게 얻어갈 수 있는 내용이 있는지?
      • 발표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부분은 발표를 듣는 청자분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저는 발표를 보는 분들이 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고 싶어하는 내용이 있는지?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또는 자료 조사를 충분히 했던 내용 정리해서 공유하거나, 트러블 슈팅했던 내용을 공유하곤 합니다
      • 이 부분이 쌓이면 핵심 포인트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 저는 항상 큰 이야기가 끝나면 한 장에 요약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이 부분에선 디테일을 보기 보다 발표의 큰 흐름, 주제, 발표의 핵심 포인트 위주로 피드백 드리고 시각화할 수 있는 내용은 아이디어 위주로 드렸습니다
  •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둘 다 피드백드렸는데, 온라인에서 드린 내용을 예시로 보여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발표 자료 최종 피드백

  • 초안 피드백 후 3~4일 뒤, 즉 발표일 -3일 쯤에 그 순간까지 완성한 자료를 통해 최종 피드백 드렸습니다
    • 1) 이 최종 피드백에선 내용을 크게 틀지 않고 주어진 시간 안에 발표를 마무리할 수 있는지?
      • 발표일이 가까워지면 내용을 크게 더 넣으려고 하다가 오히려 발표를 더 못할수도 있기 때문에 내용을 크게 틀지 않는 선에서 피드백 드리는 것이 중요한 핵심입니다
      • 발표 시간이 총 40분이고 크게 전달할 내용이 3개라면 intro 5분, 첫 이야기 8분, 두번째 이야기 8분, 세번째 이야기 8분, 마무리 5분 정도로 말씀드렸습니다(강조하고 싶은 부분 위주로 조정 가능하고, 타이트하게 시간을 계산하도록 했습니다)
    • 2) 시각적 표현에서 더 부드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지?
      • 시각적 표현을 하느냐에 따라 발표력이 달라진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이미지를 구글에서 어떻게 검색할지, 어떻게 추상화하면 좋을지 등을 같이 고민합니다
      • Icon 이미지의 경우 Flaticon을 사용하면 깔끔할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렸습니다
      • 단, 저작권 표시는 꼭-!
    • 3) 단순 나열 같은 흐름이 있는지? 발표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어떻게 바꿀까?
  • 초안 - 최종 피드백의 경계가 사실 오묘하긴 하지만, 시기에 따라 집중하는 부분이 달랐습니다
  • 피드백 예시입니다





발표 전 리허설

  • 발표일 -1일에 제가 컨설팅 해드리는 3분을 모두 회사 사무실로 불러 사전 리허설을 진행했습니다
    • 이왕이면 프레젠테이션 포인터를 구해서 서서 실전처럼 발표할 수 있으면 좋습니다(없다면 마우스라도 사용)
  • 이 때 주로 보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주어진 시간 안에 잘 발표하는지?
      • 주어진 시간 기준으로 너무 빨리 끝내면 유용한 내용이 적을수도 있고, 혹은 말을 너무 빨리하는 습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주어진 시간 기준으로 너무 늦게 끝내면 행사에 차질이 생길 수 있고, 발표하다가 급한 마음에 발표의 뒷 부분을 빠르게 끝내느라 정신없을 수 있습니다
      • 주어진 발표 시간에서 질문 시간 5분을 제외하고 적당하게 끝내는지를 파악했고, 만약 발표가 길어 질문 시간이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 스탑워치를 통해 1장당 몇 초 사용했는지를 기록해 전달했습니다
    • 2) 발표자의 특징 파악해서 전달
      • 실제 발표 시간과 리허설의 시간이 비슷할 수 있지만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발표하는 톤과 평소에 알던 성격 기반으로 실제 발표에선 말이 빨라지는 스타일일지, 말이 느려지는 스타일일지에 대한 제 의견을 말씀드렸습니다
      • 또한 리허설을 하다가 목이 약한 것 같은 분이 계시면 발표 전에 꿀물이나 도라지차 마시고, 발표 전에 꼭 물을 챙겨가도록 말씀드렸습니다(목 관리 중요..)
    • 3) 실전 발표시 유용한 Tip
      • 발표에서 갑자기 예상치 않은 TMI를 할 수도 있는데(혹은 갑자기 예상이 없던 드립 등..) 그럴 분들은 없었지만 그냥 딱 지금까지 한 것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정도로 제안했습니다
      • 발표가 너무 일찍 끝나면 질문을 많이 받거나 중간 중간에 시간을 체크해서 발표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
      • 발표에서 죄송합니다 <- 같은 표현을 굳이 쓰지 말고 당당하게 진행하면 좋다 등을 이야기했습니다(굳이 쓰지 않아도 될 표현)
  • 최대한 잘할 수 있다는 응원과 격려를 가득! 했습니다





발표

  • 실제 발표하는 모습을 잘 지켜보고 모두 사진을 찍어드렸습니다
  • 발표 전에 떨려하시는 분 계시면 가서 대화 해드리고 멘탈 관리(?)를 해드렸습니다





발표 후 자료 공유

  • 발표만 했다고 끝이 아닌, 자료 공유도 적절하게 잘 하면 좋습니다
  • 슬라이드쉐어 또는 스피커덱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 슬라이드쉐어는 조금 더 생태계가 크고, 한번 올리면 수정 불가능, 키노트에서 작성한 내용은 수정이 필요 등의 특징
    • 스피커덱은 수정은 가능하지만 생태계가 (상대적으로) 작음
    • 기존에 슬라이드쉐어를 많이 사용하셨다면 아예 다 스피커덱으로 옮기는 방법도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 키노트 자료를 슬라이드쉐어에 올리실 경우 터미널에서 아래 내용을 입력해주셔야 한국어가 잘 보입니다. 관련 링크
      LANG=C LC_ALL=C sed -i '' s'|/Registry (Adobe) /Ordering (Korea1) /Supplement [0-9]|/Registry(Adobe) /Ordering(Identity) /Supplement 0|g' 파일.pdf
    
  • 발표 자료를 업로드한 후, 필요하다면 페이스북 그룹에 공유해 자신이 진행한 내용을 컨퍼런스에 오지 않은 분들도 알 수 있도록 공유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진행하며 느낀 점

  • 사실 처음엔 “컨설팅”은 생각보다 수월하겠지? 란 생각을 했는데 사실 제가 발표 준비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습니다
    • 하지만 주변 분들(팀원)이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앞으로도 시간이 생긴다면 이런 부분을 같이 고민하고 나누고 싶습니다 :)
    • 다만.. 무상으로 하기엔 시간을 너무 많이 투자해서 고민이 되네요..!
  • 제 빡센(?) 피드백 받으며 발표를 준비하신 정민정님, 이창현님, 권윤환님 고생하셨습니다!

카일스쿨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스, 성장, 리더십, BigQuery 등을 이야기할 예정이니, 관심 있으시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문제 정의, 지표, 실험 설계, 문화 만들기, 로그 설계, 회고 등을 담은 강의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다양한 의견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 2017. by Seongyun Byeon

Powered by zzs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