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잘하는 사람의 특징, 마음가짐


  • 이 글은 일을 잘한다고 느낀 사람들의 특징을 정리한 글입니다. 주관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의견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셔도 좋아요.
  • 키워드 : 일 잘하는 사람의 특징, 신입 마음가짐


일 잘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 최근에 강의 수강생분에게 질문을 받았다. 신입 데이터 분석가 관점에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면 좋을까요?
    • 넓은 질문이라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들에 대해서 공유했는데, 이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아서 글을 작성해본다
  • 우선 내가 생각하는 일을 잘하는 사람은 “함께 일하고 싶고, 신뢰할 수 있고, 성과를 내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 사람마다 정의가 다를 수 있어서, 이 정의부터 하는 것이 시작인 것 같다
    • 그리고 직무마다 직무 특성을 고려한 일을 잘한다를 정의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가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여러가지 Action Item 중에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Action Item을 제시하는가?
      • 직무 외에도 연차가 쌓이면 하나의 Task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도 고려한다.



일 잘하는 사람의 특징

  • 내가 본 사람들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물론 이게 정답이라는 것은 아니고, 다른 특징도 있을 것이다


소통이 잘 되는가

  • 회사에서 일을 할 때, 다른 팀원들과 소통을 하는 경우도 있고 팀장님과 소통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팀과 소통하는 경우가 있다. 정말 많은 사람들과 소통을 하게 된다
  • 이 때 소통이 잘 되는 사람이 일을 잘한다고 느껴진다
    • 그럼 소통이 잘 된다는 것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 이것도 굉장히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는데, 나는 “맥락을 전달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전달하며,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경우”를 소통이 잘 된다고 정의한다
  • 맥락을 전달한다는 것
    • 모든 일에는 맥락이 존재한다. 어떤 상황이여서 지금 이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고 또는 어떤 맥락에서 갑자기 의사 결정을 다르게 하기로 했고 등. 이런 맥락이 Why와 유사하다.
    • 사람들이 어떤 것을 보고 왜? 그렇지라는 생각을 하지 않도록 먼저 맥락을 전달하는 경우가 좋았다
    • PM분들과 일할 때 맥락을 자세히 공유하는 경우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고, 코칭을 할 때도 그 사람의 고민의 맥락을 들을 때 더 좋은 내용으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 그래서 항상 시작할 때 맥락을 같이 공유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했다
    • 팀원이 이슈를 겪을 때, 스스로 시도하다가 빠르게 내게 공유해주는 경우가 좋았다. 마감 기한이나 납기 직전에 안된다고 공유하면 그건 해결하기 참 어렵다. 안되는 것은 문제가 아니기에 이슈가 생기면 적절하게 SOS를 치는 것도 중요하다
  •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전달한다는 것
    • 상대방이 궁금해하기 전에 먼저 공유하는가? 관점으로 볼 수 있다
    • 이건 다양하게 해결할 수 있는데, 내가 본 사람들은 문서 정리를 잘 해두고, 누가 필요하다고 할 때 그 정리 문서를 바로 제공했다
    • 즉, 소통을 잘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을 사용했던 것
    • 혹은 사람이 직접 답변하지 않아도 되도록 특정 키워드를 포착하면 자동으로 특정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슬랙 옵션을 설정하기도 했다
    • 요즘은 LLM이 발전하면서 이런 것들을 더 적시에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그리고 필요 이상의 정보를 주는 것은 좋은 커뮤니케이션이 아닐 수 있다. 적절한 수준의 정보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은 한꺼번에 모든 내용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 서로 대화를 나누는 경우
    • 서로 대화를 나눈다는 간단하게 담소를 나눈다 이런 맥락이 아니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면 한번 더 물어보고 합의를 하는지를 의미한다.
    • 서로 대화를 나누면서 오해를 없애고, 정의를 맞추고, 만약 의견이 다르면 추가 논의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야 한다
    • 이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좋은 질문을 하는 역량이 필요하고, 어떻게 대화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하면 좋다


예측이 가능한가

  • 예측의 정의 : 미래에 발생할 일이나 상황을 미리 짐작하여 판단하는 것
    • 팀장 입장에서 팀원이 예측 가능한가?
    • 혹은 같이 협업하는 입장에서 동료가 예측 가능한가?
  •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은 그 사람이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작업하는 것이 모두 포함된 개념이라 생각한다
    • 처음 입사한 사람은 예측이 어렵다. 왜냐하면 같이 일한 데이터(경험)이 적기 때문
    • 같이 일을 하면서, 그 사람이 어떻게 일을 하는지 경험이 쌓이고, 이런 경험 기반으로 예측을 하게 된다
  • 여기서 많이 발생하는 이슈는 업무의 예상 완료일이 늦어지는 경우다
    • 늦어지는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닐 수 있다. 늦어진다고 공유만 하면 된다
    • 하지만 이렇게 늦어진다고 말하는 것도 신입 시절엔 말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나는 신입 시절에 내가 예상한 일정보다 +1~2일 정도 추가해서 말하고 빨리 끝나면 빨리 공유했다. 항상 하다보면 예상하지 못한 일이 생겨서 딜레이가 생기는데, 최초에 공유한 일자 안에 해결한다면 다른 사람 입장에선 말한 일정을 지키는 사람이 된다
      • 그렇다고 이걸 잘못 이해해서 항상 일정을 +하라는 것은 아니다. 내가 얼마나 걸릴지 잘 예측할 수 있다면 정확한 일자를 주는 것도 좋다. 신입 시절에만 사용한 방법


하나의 Task가 아니라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가?

  • 신입 시절에는 내가 받은 업무 하나만 봤다면, 연차가 쌓일수록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라는 요소가 나오게 된다
  • 이 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생각해보면 거시적인 관점으로 이해를 할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 같다
    • 회사의 비즈니스 전체 상황을 이해하고(비즈니스 모델을 알면 좋은 이유) 그 상황에서 회사/조직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 수 있는 것
    • 그래서 단순히 지엽적인 부분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고 많은 조직에서 필요한 일이 있다면 그것부터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 예를 들어, 데이터쪽에선 많은 사람들이 데이터를 활용하고 싶은 상황이거나 데이터 쿼리 추출에 많은 시간이 걸리면 그 부분이 병목이기에 이걸 해결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입게 된다
  •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누가 공유해주는 것보다, 스스로 탐색을 해야 하는 것 같다.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 많이 이야기도 나누고, 거시적인 관점으로도 보고, 여러가지를 고민해야 한다
    • 신입 시절에는 Task에 집중하고, 주변의 시니어분이 무엇을 하는지 살펴보면서 배워도 좋을 것 같다


우선 순위 선정 및 선택과 집중

  • 회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이것도 해야 하고, 저것도 해야 하고, 아 다 해야지! 하다가 아무것도 못하는 경우가 있다
  • 이럴 때 우선 순위를 선정해서 제일 중요한 문제부터 하나씩 푸는 것이 필요하다
    • 이게 말로는 이해가 되는데, 실제로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우선 순위 없이 모두 다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 목표가 막연할 경우엔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한번에 달성하기 어렵다고 하면 일정을 나눠서 쪼개서 실행한다
    • 또한 그 과정에서 시간 관리를 잘 진행해서 필요한 것들 위주로 진행한다


마음 관리

  • 일을 잘하는 사람들은 회복탄력성도 좋은 편이였다. 마음 관리를 잘하는 사람들인데, 일을 하다보면 좋은 일도 있지만 아쉬운 일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을 배포했는데 예상보다 지표가 올라가지 않는 경우
    • 이게 1번이라면 다시 하지! 라고 하는데 여러번(3회 이상)이 되면 좌절을 겪을 수 있다. 아 난 안되나? 이런 생각
    • 그럴 때 마음을 다시 다 잡고, 흠 여태까지 시도를 아예 방향을 바꿔야 할까?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 어떤 시도를 하려면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 할 수 있다
    • 그래서 마음을 관리하는 나만의 방법이 있으면 좋다
  • 또한 안되는 것을 생각하는 것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해서 발전하려는 방향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일을 잘한다고 느꼈다
    • 안 된다라고 말하는 것보다 오 이렇게 해볼까요? 이런 방향? 또는 어려울 수 있지만 고민해보고 말씀드릴게요! 하면서 조금이라도 나아가는 방향으로 가는 사람이 좋았다
    • 남탓할 시간에 뭘 해야할지 고민하는 것이 핵심
  • 운동도 좋고, 요가, 명상 등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나에게 맞는 마음 관리 방법을 찾으면 좋겠다


기록

  • 일을 잘하는 사람은 기록도 잘한다. 단순히 내용을 모두 다 기록하는 것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방대한 내용에서 핵심만 요약해서 정리하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 핵심을 정리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잘 전달할 수 있다
  • 이걸 잘 하려면 일단 기록을 많이 해야한다. 기록을 많이 하면서 이 기록의 핵심은 뭐지? 어떻게 정리해야 하지? 어떻게 전달하지? 고민하면 된다
  • 신입 시절에 매일 업무 일지를 쓰면서 뭘 해야하고, 어떤 것은 늦어지고 있는지 파악했다
    • 업무 일지는 TODO 느낌으로 쓰기도 하고, 회사의 문서 시스템에 기록하기도 했다. 중복으로 기록하는 것보단 하나에만 기록을 하는 것이 좋았다
  • 회의록 기록도 비슷한데, 회의를 할 때 항상 핵심을 기록하며 회의에 참여했다. PM이나 회의를 기록하는 사람이 있어도, 내 방식으로 정리하고 누군가 정리했을 때 내 관점에서 빠진 것이 있으면 같이 채워주곤 했다.
    • AI가 발전해서 기록을 잘 해주는 서비스가 나오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잘 정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나는 이 부분은 계속 진행하고 있다. AI는 보조적으로 쓰는 용도라 생각한다
  • 회의를 주도해야 하는 경우에 사전에 생각할 부분을 기록하고, 참여자들에게 공유하고, 그 부분을 토대로 이야기를 하는 것도 일을 잘하는 사람의 특징이였다. 이것은 기록과 커뮤니케이션이 모두 발현된 케이스였던 것 같다
  • 기록을 많이 하다보면, 나의 프로세스까지 기록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럼 그것을 토대로 프로세스 시각화까지 하면 업무의 흐름까지 알 수 있어 좋다
  • 더 나중에는 이 기록이 나의 원칙이 된다. 나의 기준이 생길수록 단단하게 업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정리

  • 일단 떠오르는 것들을 하나씩 작성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또 다른 요소가 생각날 것 같다.
  • 생각날 때마다 기록해야지
    • 신입 시절에 내게 오는 다양한 피드백을 기록하고 그것을 발전시킨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누군가 나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공격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피드백으로 받아보면서(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개선하니까 그게 쌓여서 내 특징이 되었다
  • 이런 특징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해야 할까? 관점에서 내용을 추가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후의 내가 쓰길 바라며..!

카일스쿨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커리어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문제 정의, 지표, 실험 설계, 문화 만들기, 로그 설계, 회고 등을 담은 강의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셔요.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 2017. by Seongyun Byeon

Powered by zzs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