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Cloud Platform 가입 및 소개
in Google Cloud Platform on Basic
이 글은 Google Cloud Platform(GCP) 가입 및 소개를 위한 글입니다! AWS도 좋은 클라우드 환경이지만, 다른 클라우드도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GCP의 장점은
1) 처음 가입시 $300를 주기 때문에 이것저것 해보며 클라우드 환경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2) 빅데이터 관련 서비스가 매우 좋습니다(BigQuery, Dataflow, BigTable, CloudML 등)
Google Cloud Platform 가입하기
1) Gmail 가입하기(이 과정은 생략)
2) Google Cloud Platform 접속
- “무료로 사용해 보기” 클릭
3) GCP 가입하기
- 무료 평가판 서비스 약관에 “예”
- 계정 유형 : 개인
- 이름 및 주소 입력
- 결제 수단 입력
- 모두 입력하면 1달러가 결제됩니다(추후 취소처리됩니다)
- 가입 완료!
프로젝트 생성
- “빈 프로젝트 생성” 클릭해주세요!
- 프로젝트 이름과 프로젝트 ID 설정
- 필요한 경우 직접 수정해주세요!
- 프로젝트 ID는 우측에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 가능합니다
- 제 계정은 변경했습니다
GCP Console
- 몇가지만 설명드리면
- (1) 기본적인 메뉴들이 위치합니다
- 결제 : 사용한 금액, 잔여 Credit, 클릭시 (5)와 동일한 곳으로 이동
- 남은 크레딧을 보고싶을 경우 https://console.cloud.google.com/billing로 이동
- 지원 : 구글에게 지원이 필요할 경우 사용
- IAM 및 관리자 : IAM 설정, 서비스 계정, 유저 역할 결정
- 결제 : 사용한 금액, 잔여 Credit, 클릭시 (5)와 동일한 곳으로 이동
- (2) 컴퓨팅
- App Engine : 구글 앱엔진
- Compute Engine : 컴퓨팅 엔진 (AWS의 EC2)
- Kubernetes Engine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 (3) 저장소 : Bigtable, Datastore, Storage(AWS의 S3), SQL, Spanner 등
- (4) Stackdriver : 구글 클라우드의 로그는 모두 스택드라이버에 기록됩니다. 추적 혹은 모니터링을 클릭하면 됩니다
- 좌측 메뉴 중 하단에 있는 것을 잘라왔습니다
- 빅 데이터의 BigQuery, Dataproc(하둡/스파크 클러스터), Dataflow, ML 엔진 등이 정말 좋은 서비스입니다
카일스쿨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커리어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문제 정의, 지표, 실험 설계, 문화 만들기, 로그 설계, 회고 등을 담은 강의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