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쓰는 개발자 모임 - 글또 4기 다짐
- 제가 운영하고 있는 글 쓰는 개발자 모임, 글또 4기 다짐 글입니다
글또 4기
- 벌써 4기째!
- 매 기수가 끝나고, 새로운 기수가 시작되면 다양한 생각이 들곤합니다
- 이번 기수는 저번 기수보다 더 많은 분들이 지원해주셨습니다. 그 중, 69명과 함께 합니다!
- 3기 회고 글에 4기에 80명 정도 함께하려나..? 했는데 그정도는 아니였네요!
- 사람들이 많아진 만큼, 서로에게 좋은 영향력을 끼치면 좋을 것 같네요 :)
4기를 시작하며 준비한 것
- 로고
- 우선 로고를 만들었습니다!
- 글또 1~3기를 하신 김나영님께서 이쁜 로고를 만들어주셨습니다
- 예전부터 만들고 싶었는데, 이제 로고가 생겨서 너무 기쁘네요-! 조만간 스티커를 만들 예정입니다 :)
- 글또 관련 문서
- 글또 관련 규칙을 발표 자료로 유지했는데, 이번에 Notion에 글을 작성했습니다!
- 글또 노션에서 확인할 수 있고, 가이드 문서, 자료 모음 등 다양한 부분을 계속 보강할 예정입니다
- 글또 활동을 하지 않아도, 이런 모임을 만들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드리고 싶습니다
- 온라인 OT
- 과거 기수에선 계속 첫 모임은 오프라인!을 고집해왔습니다
- 하지만 이번엔 약 70명의 글또분들이 계시고, 코로나로 인해 모임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 따라서 유튜브 온라인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습니다
- 영상은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으로 진행한 부분이 생각보다 신선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어서, 종종 온라인으로 같이 피드백, 의논 등을 해볼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규칙 개정 및 업무 자동화
- 기수가 지나며 점점 개선해야 할 규칙들을 개정하고 있습니다
- 1) 다른 직군 피드백이 아닌, 같은 팀 내 피드백 하도록 변경
- 2) 많이 헷갈릴 수 있는 피드백 부분 개선 => 자동화팀에서 구현해주실 예정
- 3) 블로그 글 대신 유튜브 글도 허용하도록 규칙 개정 => 이 부분은 실제로 하실 분이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지만! 일단 컨텐츠의 다양성을 존중하기로 했습니다
이번엔 무슨 글을 작성할 것인가?
- 사실 저는 글또 1~3기를 하며 한번도 예치금을 잃어본 적이 없어서(Pass도 한번도 쓰지 않은 것 같네요) 예치금 없이 Pass 꼭 해야지! 이런 생각은 없습니다
- 다만 이번엔 글의 퀄리티를 더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려고 합니다
- 다양한 요소를 엮은 통찰력 있는 글 작성
- 실제 업무하며 겪을 수 있는 내용을 일반화해서 글 작성
- 리더십, 동기부여에 관한 글
- 기술적 부분에 대해 작성하고 싶은 테마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여전히 MLOps. 아직도 다양한 방법론이 있고, 그걸 어떻게 블럭같이 엮을지는 시도가 필요한 상태
- Operation Research와 Machine Learning의 결합
- Graph 이론
- 그 외에 개발 분야가 아닌 책의 후기도 블로그에 남기고 싶습니다!(일단 읽기라도 해야..)
이번엔 유튜브를 진짜 시작할 것인가?
- 사실 유튜브를 진짜!!!!! 하려고 다짐했습니다
- 채널도 만들었습니다. 일명 카일스쿨
- 주로 이야기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신입 데이터 분석가가 알면 좋을 내용(어떻게 일할 것인가, 업무의 방식, 데이터 시각화, 간단한 개발 상식 등)
- 머신러닝이나 통계학 내용은 인터넷에 매우 많은데, 이 부분은 부족한 것 같아 꾸준히 영상으로 남길 예정입니다
- 2) 데이터 관련 커리어에 대한 이야기(취업, 이직 등)
- 특히 회사를 어떻게 찾아보고,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한 제 전략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실제로 꽤- 많이 효과보았고, 면접을 많이 보는 사람의 입장도 섞을 예정입니다
- 3) Google Cloud Platform
- GCP를 사용한지 벌써 4년이 넘었습니다. 이제 AWS보다 GCP가 더 익숙하네요
- GCP 관련 유튜브 자료는 영어론 많지만, 한국어론 아직 적습니다. 지인은 글로벌하게 영어로 하라고 했지만 저는 일단 한국분들도 많이 GCP를 알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설명하는 영상을 만드려고 합니다
- 특히 BigQuery부터 시작할 생각입니다
- 기타 MLOps나 Operation Research는 제 여건이 된다면..
- 1) 신입 데이터 분석가가 알면 좋을 내용(어떻게 일할 것인가, 업무의 방식, 데이터 시각화, 간단한 개발 상식 등)
- 최소 2주에 영상 1개는 올리고 싶네요. 과연 어떻게 될지..!
취업 컨설팅
- 글또 4기분들 중 희망자에 한해서(주로 데이터 직군) 취업 컨설팅을 합니다
- 이미 희망자를 모두 받았고, 자신에 대해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유튜브 영상에도 이야기할 예정이지만, 그래도 글또분들의 성장을 지켜보고 싶어 따로 컨설팅하기로 했습니다
- 6개월 내 취업이란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모두 좋은 곳으로 가실 수 있도록 열심히 돕도록 하겠습니다!
카일스쿨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커리어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문제 정의, 지표, 실험 설계, 문화 만들기, 로그 설계, 회고 등을 담은 강의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