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차를 앞둔 머신러닝 엔지니어의 2020년 회고





2020년 키워드 정리

  • 회사 업무
    • 피플 매니저
    • 딥러닝 프로젝트
    • Apps Script를 사용한 업무 자동화
    • 제품 데이터를 위한 기반 마련
    • 기술 블로그 운영
    • 사내 교육
      • 카일 스쿨
      • PM SQL 교육
      • SQL 가이드 작성
      • 파이썬 중급 프로그래밍 스터디
  • 구글 빅쿼리 완벽 가이드 번역
  • 발표, 특강
    • 노션 웨비나 발표
    • 인하대 경영학과 수업 - 사업계획 및 전략2 특강
    • 세종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취업 특강
  • 새로운 도전
    • 작업실 계약
    • 테니스 레슨
    • MITI 동기면담
  • 기술적 발전
    • Apps Script
    • CI/CD(Github Action, Cloud Build, 버디웍스 등)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Pub/Sub + Dataflow + Ray를 사용한 최적화 병렬처리
    • Google Analytics 4, Tag Manager
    • 쿠버네티스
  • 잠시 중단된 블로그
  • 프립 제주도 1주 살기 이벤트 당첨




회사 업무

  • 업무들
    • 피플 매니저
    • 딥러닝 프로젝트
    • Apps Script를 사용한 업무 자동화
    • 제품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반 마련
    • 기술 블로그 운영
    • 사내 교육
      • 카일 스쿨
      • PM SQL 교육
      • SQL 가이드 작성
      • 파이썬 중급 프로그래밍 스터디


  • 회사에서 1년간 맡은 업무 중 핵심은 피플 매니저 역할로 그룹원들을 성장시키고,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는 역할
    • 매달 15명의 인원을 1시간씩 면담하고, 개인 맞춤형으로 면담함
    • 그 외에도 성장할 수 있는 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함
      • 예를 들면 데이터 그룹 통합 세미나, 팀 스터디 등
    • 피플 매니저 관련 내용은 쏘카 기술 블로그에 곧 업로드될 예정
    • 1년이 지난 시점에서 사람들이 많이 성장했음을 느껴 매우 뿌듯함
    • 팀장 역할에 대한 회고도 진행했는데, 초보 개발 팀장의 1년 회고 - 좋은 팀장이 되기 위한 노력들에 작성했고, ㅍㅍㅅㅅ에도 해당 글이 올라감


  • 피플 매니저 역할 외에도 개인 또는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함
  • 딥러닝 프로젝트
    • Semantic Segmentation을 활용한 차량 파손 탐지 딥러닝 모델 개발기 프로젝트를 이어서 더 발전시키는 중
    • 딥러닝 모델을 실제로 어떻게 활용할지를 고려하는 부분이 어려움
      • 단순히 예측해서 끝이 아닌 현업 팀의 니즈를 파악해야 했음
    • 같이 진행하는 분들이 문제를 잘 해결하고 있음
    • 인프라나 Serving 개발, 레이블 도구 개발 등을 주로 담당했고, 이 부분을 다른 분에게 조금씩 맡기는 중
    • 같이 진행한 분이 Self Supervision을 사용한 결과를 공유해주셨는데, 레이블이 없는 환경에서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재미있다 생각했음


  • Apps Script를 사용한 업무 자동화는 사람이 직접 진행할 경우 시간이 매우 소요되는 일들의 자동화 업무
    •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BigQuery, Apps Script를 사용해 만듦
    • 파이썬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사용자 관점을 고려해 스프레드시트 베이스 제품을 만드느라 Apps Script 선택!
    • Apps Script만 잘 알아도 업무 자동화는 거의 가능한 듯. 노션에 있는 내용을 조만간 정리할 예정
    • 그 외에 최적화 프로젝트를 통해 업무 자동화도 진행
      • 최적화를 프러덕션에 올리는 경험은 재미있었고, Ray를 사용해 분산처리 시스템을 구축했음


  • 제품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반 마련
    • 이 부분은 내년에도 계속 진행해야 하는 업무
    • 회사의 데이터 정책을 거의 정리하고 있고, PM 분들을 위한 가이드 등을 작성하는 중
    • 제품 데이터 분석을 도와주는 Amplitude, Segment 등의 제품을 참고해 어떤 식으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지 고민 중
    • 꽤 잘 정리된 오픈소스인 Snowplow를 파악하는 중


  • 쏘카 기술 블로그 운영
    • 업무 시간 중 10% 정도 할애하고 있음
    • 올해 작성한 11개의 글이 꾸준히 노출되고 있음
    • 디자인팀 분들과 협업할 기회가 거의 없었는데, 작성한 글 피드백하며 협업한 경험이 재미있었음
      • 그리고 좋은 기회를 물어와(?) 네이버 테크톡에 발표하는 경험까지 드렸음
    • 내년엔 기술 블로그가 더 풍성해지길!


  • 사내 교육
    • 생각보다 회사에서 교육을 많이 진행함
    • 교육 중 특히 고민한 부분은 어떤 내용을 교육할지, 어떻게 전달할지, 교육 중간에 동기부여를 어떻게 줄지 등
    • 데이터 분석가/사이언티스트 신입 교육 카일 스쿨을 통해 분석가/사이언티스트의 전반적인 기술 수준을 향상
    • PM 분들에게 SQL 교육을 진행하며 알고 있으면 좋은 데이터 지식을 전달
      • 이 부분은 한 번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계속 진행해야 하는데, PM 분들과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할 것 같음
    • 전사 SQL 가이드도 만들었는데, 슬라이드 기준으로 약 400쪽이 넘음
      • 전사 교육을 직접 하기엔 시간 리소스가 제한되어 있어서, 어떻게 풀어낼지 고민 중


구글 빅쿼리 완벽 가이드 번역

  • 1년 내내 따라다녔던 구글 빅쿼리 완벽 가이드 번역. 11월 말에 책이 나왔고, 실물 책을 봤을 땐 정말 신기했음
  • 번역을 하며 ‘번역은 아무나 하는 게 아니구나’ 깨달았고, 만약 번역 의뢰가 온다면 아마 거절할 것 같음
    • 빅쿼리를 아는 사람이 많아지길 바라며 꼼꼼하게 번역 진행함
  • 돌이켜보면 번역하느라 공부에 신경쓰지 못했던 2020년


발표, 특강

  • 주요 이벤트
    • 노션 웨비나 발표
    • 인하대 경영학과 수업 - 사업계획 및 전략2 특강
    • 세종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취업 특강


  • 올해는 기술적 발표는 안 하고, 노션 웨비나, 취업 특강 등을 주로 진행해서 아쉬움도 남음
    • 내년엔 기술 발표도 꼭!
  • 노션 본사와 미팅하다가 노션 웨비나 발표 제안 받음

    • 노션 사용하는 방식을 보고 노션 본사 직원분이 칭찬해주셔서 으쓱-!
    • 15분 발표 시간동안 최대한 많은 내용을 전달하려 노력함
    • 노션 홈페이지의 SOCAR 부분에 인터뷰한 내용이 존재함
  • 데이터 관련 취업 특강은 시간이 되면 최대한 진행하는 중
    • 대학생 관점에서 정보를 얻기 힘든 불균형된 시장이라 생각해서, 정말 바쁜 상황이 아니라면 참여하고 있음
    • 정보의 불균형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내년엔 유튜브에 내용을 추가할 예정
    • 직접 발표하진 않았지만, 가천대 산업공학과 세미나 제안을 받아서 해당 내용을 잘 발표할 수 있는 팀원에게 토스해서 같이 참석함. 이런 방식으로 팀원들에게 발표 기회를 계속 제공하는 것도 좋은 경험


새로운 도전

  • 주요 도전
    • 작업실 계약
    • 테니스 레슨
    • MITI 동기면담


  • 작업실

    • 퇴근 이후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모습을 보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작업실 계약
    • 카페24에서 1인 작업실을 월 35만원 정도에 대여할 수 있어서 신청
    • 평일과 주말에 종종 작업실에 가는데, 생각보다 효율이 좋음
    • 1년 계약해서 21년 6월까지 계속 사용할 예정인데, 그 이후엔 장소를 옮겨볼까 고민 중
    • 시간을 더 잘 사용하기 위한 투자는 아깝지 않아 후회하지 않음
  • 테니스

    • 회사 동료가 테니스를 배우자고 제안했는데, 그 당시 새로운 무언가를 하고 싶어서 승낙함
    • 생각보다 더 재미있어서 꾸준히 배우는 중
    • 코로나라 잠시 중단되었지만, 빨리 레슨 받으러 가고 싶음
  • MITI 동기면담

    • 피플 매니저 역할을 하면서 화법이나 면담 방식에 관심을 가져서 수강한 강의
    • 평소에 내 면담 스타일이 어떤지 돌이켜볼 수 있었고, 일상 대화에서도 이런 부분을 활용하게 됨
    • 자세한 후기는 MITI 동기면담 워크샵 후기


기술적 발전

  • 주요 발전
    • Apps Script
    • CI/CD(Github Action, Cloud Build 등)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Pub/Sub + Dataflow + Ray를 사용한 최적화 병렬처리
    • Google Analytics 4
    • 쿠버네티스


  • 올해는 생각보다 기술적인 발전이 적은 것 같음
    • 다만 예전과 다른 점은 이제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경우
      • 문제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찾고
      • 그중 우리에 잘 맞는 방식을 찾아 시작함
    • 새로운 기술에 대한 어려움이 줄어들었음. 그냥 하면 되지 뭐 이런 느낌?
  • 혹은 피플 매니저 역할에 집중하느라 기술적인 부분은 최소한만 진행한 것 같기도?
    • 내년엔 조금 더 기술이나 문제의 해결 방식을 제시할 수 있는 리더가 되고 싶어서 다시 이 부분을 신경 쓸 듯
  • 쿠버네티스는 당분간 계속 공부할 듯. 공부하면 할수록 알아야 하는 내용이 많다..!
  • Ray는 정말 기가 막힌 오픈소스. 앞으론 Ray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될 듯
  • 바쁜 와중에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ml-system-design-pattern) 내용을 번역하길 잘한 것 같음! 머신러닝에도 점점 디자인 패턴이 생기는데, 이제 코드 수준으로 정리가 있으면 좋을듯


잠시 중단된 블로그

  • 11월에 누군가의 신고로 1달간 깃허브 블로그가 내려갔음
    • 신고하신 분의 의도는 레포지토리륻 닫는게 아니라 과거 커밋 삭제를 요청했는 깃허브가 그냥 레포를 닫아버렸다..!
      • 깃허브에게 메일 보내면 최소 3주 뒤에 답장이 온다. 그래서 바로 메일을 보냈지만 복구까지 1달의 시간이 소요됨
    • 이 일로 구글 1페이지에 노출되던 블로그 글은 꽤 후순위로 노출되거나 아예 노출이 안 되는 중
    • 생각보다 깃허브 Repo 내리는게 쉽다는걸 깨달음
    • 새로운 시작이란 생각으로 블로그 운영하고 있음
  • 근데 이 이후에 글 작성이 어려워짐. 다시 글 작성하는 습관을 만들기!


프립 제주도 1주 살기 이벤트 당첨

  • 프립과 넥스트챌린지에서 진행한 제주살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일주일만에 당첨되어서 제주도에 다녀옴
    • 연말에 남은 휴가 5일을 모두 사용
    • 오프로드 체험, 수중 촬영, 금오름 투어, 981 파크, 커피 브루어링, 제주 음식 체험 등 다양한 체험들을 하고 왔음
    • 올레 6길을 걷기 정말 좋았음
    • 제주 스타트업베이의 업무 공간도 활용했는데, 나중에 제주 1달 살기 등을 하면 스타트업베이에 있어도 좋을 것 같음. 공간이 매우 깔끔




요즘 생각

  • 5년 차를 앞두며 “내 성장판은 얼마나 열려있을까?”, “더 큰 성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등을 고민하고 있음
  • Product Management
    • 요새 관심사. 내 인생도 하나의 프러덕트로 볼 수 있고, 어떻게 운영할지 고민
    • UX, 심리학 등의 책도 재미있어서 계속 읽는 중
  • 느슨한 목표를 가지고 사는가
    • 요새 딱히 목표 없이 지낸 것 같음
    • 코로나라 그런가?
    • 그냥 쉬엄쉬엄 흐느적거리며 살았는데, 그래도 느슨한 목표는 필요한 듯
      • 동기부여와 자극이 필요함
    • 너무 빡빡한 목표는 아니더라도, 주기적으로 나에 대해 생각해서 느슨한(6개월 기간 정도) 목표 정도는 가지고 살기
  • 내가 생각하던 5년 차의 모습은?
    • 신입 때 생각하던 5년 차와 요즘 생각하는 5년 차를 비교하는 중. 확실히 관점이 달라짐
    • 회사에서 요구하는 5년 차가 아닌, 내가 정의하는 5년 차에 대한 생각하는 중
    • 진유림님의 중니어의 고뇌: 1인분 개발자, 다음을 찾아서 발표 자료도 인상 깊게 봤음
    • 추후 5년 차에 대한 글 작성해보기!
  • 10년 후에 뭐 하고 있을지 궁금
    • 계속 데이터 업계에서 일하고 있을지, 개발을 하고 있을지, 회사를 다니고 있을지 등
    • 10년 후가 기대됨
  • 의도적으로 다른 분야(또는 사람) 접하기
    • 예전엔 광고, 디자인 분야 사람들을 많이 만났는데 요샌 개발 업계 사람들을 주로 만나니 사고가 개발스러워짐(?)
    • 의도적으로 다른 분야 접해서 영감 얻기
    • 예를 들면 예술, 건축 등
  • 교육에 관심이 많음
    • 현재 여러 교육 기관들에서 현업에서 꼭 필요하지만 가르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어떻게 교육으로 풀 수 있을지 생각 중
    • 개인적으로 강의를 꼭 진행할 예정이고, 유튜브로 스낵 컨텐츠를 많이 양산하고 싶음(책 번역도 끝났으니 이제 시간을 내보기..!)
    • 글또에서 진행하는 취업 컨설팅에서 많은 분이 좋은 회사에 취업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우면서 노하우가 점점 생기는 중




마치며

  • 코로나로 많은 환경이 변했고, 개인적인 일도 있었던 2020년
    • 돌이켜 보면 올해는 작년보단 열심히 살지 않은 것 같음
      • 하지만 이대로도 괜찮다!
      • 사람마다 열심히 사는 시기도 있고, 덜 열심히 사는 시기가 있을 뿐. 아프지 않고 잘 지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칭찬받을 일
  • 내년엔
    • 회사 차원
      • 팀원들의 문제 상황을 잘 해결하는 리더가 되고 싶음
        • 사람들을 챙기고 서포트하는 리더는 충분히 잘 진행한 것 같고, 이 문제 해결을 위한 비전 제시하는 리더가 되고 싶음
        • 팀원분들이 성장하며 나도 이 부분을 계속 성장해야 한다!
        • 물론 나도 기술적인 성장이 계속 필요
      • 프로젝트 매니징을 더 잘하는 방법 고민
        • 어떻게 해야 프로젝트를 잘 매니징하고,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은 계속!
        • 데이터 분야의 프로젝트 매니징은 생소한 부분도 있어서, 여러 자료 찾아보기
      • 머신러닝 인프라 구축(MLOps)
        • 머신러닝 인프라, MLOps에 대한 많은 자료를 접하고 든 생각은 “우리 조직에 맞는 수준의 적당한 인프라 구축하기”
        • 처음부터 무리하게 Kubeflow 등을 도입할 필요가 없음
        • 요구 조건을 잘 파악해서 지금 개발된 부분을 베이스로 린하게 개발하고 고도화하기!
      • 강화학습
        • 그동안 RL을 피했는데, 이젠 진짜 업무에서 필요해서 공부해야 한다..!
    • 개인 차원
      • 시간이 정말 빠르다. 정신 단단히 잡고 살기
      • 내 삶은 내가 주체적으로!
      • 독서량은 늘리고, 독서한 내용 잘 메모하기
      • 내가 잘하고 싶은 것들에 대한 고민은 계속!
  • 내가 잘하는 것들을 진행한 20년이라면, 내가 잘하고 싶은 것들을 도전하는 21년이 되길!




참고

  • DevC Seoul에서 참여한 “2020 원격 회고”에서 작성한 올해의 키워드

카일스쿨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커리어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문제 정의, 지표, 실험 설계, 문화 만들기, 로그 설계, 회고 등을 담은 강의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셔요.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 2017. by Seongyun Byeon

Powered by zzsza